[리포트] 주식 시황 @중요 뉴스
뉴욕증시 3대 지수 최고 마감…오후부터 가을비 | 한국경제
📈 오늘의 글로벌 증시 브리핑
☀️ 개장 전 시장 동향
🇺🇸 미국 시간 외 거래 특징주
동향: 전일 정규장 마감 이후, 주요 기업들의 특별한 공시나 뉴스 발표가 없어 시간 외 거래는 비교적 조용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 중국 개장 전 동향
(한국 시간 오전 10시 30분 이후부터 확인 가능합니다)
🌙 전일 시장 마감 특징주
🇺🇸 미국 증시 (2025년 9월 18일 마감)
산업재 섹터 (Industrials Sector)
테마: #산업재 #금리인하수혜
등락률: 동반 강세
원인: 연준(Fed)의 금리 인하 결정으로 향후 경제 활동 및 산업 수요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캐터필러(CAT) 등 대표적인 산업재 주식들이 다우존스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기술주 섹터 (Technology Sector)
테마: #기술주 #밸류에이션부담
등락률: 동반 약세
원인: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시장을 주도해온 기술주들은 높은 밸류에이션에 대한 부담감으로 하락했습니다. 엔비디아(NVDA), 브로드컴(AVGO) 등 AI 관련주들이 조정을 받으며 나스닥 지수는 하락 마감했습니다.
테슬라 (Tesla, TSLA)
테마: #전기차 #성장주
등락률: +0.5% (추정치)
원인: 기술주 전반의 조정 분위기 속에서도 소폭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유지했습니다. 전기차 시장의 장기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밸류에이션 부담을 일부 상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 중국 증시 (2025년 9월 18일 마감)
레저/여행 섹터 (Leisure/Travel Sector)
테마: #국경절 #리오프닝 #여행소비
등락률: 동반 급등
원인: 시장이 1% 이상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경절 황금연휴(10월 1일~7일)에 대한 소비 특수 기대감으로 호텔, 항공, 면세점 등 관련주들은 폭등하며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항서제약 (Jiangsu Hengrui Medicine, 600276.SS)
테마: #제약 #바이오 #경기방어주
등락률: +1.37%
원인: 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가 악화되는 가운데, 안정적인 성장성을 갖춘 대표 제약주가 경기 방어주로서 부각되며 상승 마감했습니다.
금융/소비 대표주 (Financial/Consumer Bellwethers)
테마: #경기둔화우려 #차익실현
등락률: 동반 약세
원인: 증시가 주요 저항선 돌파에 실패하고 조정을 받자, 귀주모태(-1.68%), 공상은행(-2.28%) 등 시장을 대표하는 대형주들을 중심으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2025년 9월 19일 (금)
시황 브리핑
글로벌 증시는 AI 혁신이 주도하는 빅테크들의 대규모 투자와 차세대 디바이스 경쟁, 그리고 각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맞물리며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국내 증시 또한 이러한 거대 담론에 발맞춰, AI 인프라(전력/반도체), 차세대 IT 기기(XR/로봇), 바이오 등 구조적 성장이 기대되는 핵심 테마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1. AI 인프라: 전력망과 반도체의 '슈퍼 사이클'
투자 아이디어 AI 시대는 필연적으로 전력 인프라의 대증설과 고성능 AI 반도체 수요의 폭증을 동반합니다. 이는 향후 수년간 지속될 구조적인 성장 사이클의 시작을 의미하며, 관련 공급망 전체에 전례 없는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핵심 종목
주도주 (Leader): HD현대일렉트릭 (267260) AI 데이터센터 증설의 최대 난관인 전력망 구축의 핵심(변압기 등)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북미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대체 불가능한 플레이어입니다.
유망주 (중소형): 일진전기 (103590) 변압기와 함께 전력망의 핵심인 초고압 케이블 분야의 강자입니다. 데이터센터 증설에 따른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 시 대형주보다 높은 주가 탄력성을 기대할 수 있는 대표적인 중소형주입니다.
2. 차세대 IT: XR과 로봇이 여는 새로운 세상
투자 아이디어 삼성의 XR 헤드셋 '무한' 출시는 제3의 거대 XR 생태계 탄생을 예고하며, 정부의 '주 4.5일 근무제' 도입 추진은 로봇 산업의 성장을 가속화할 가장 강력한 촉매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핵심 종목
XR (주도주): LG이노텍 (011070) XR 기기의 핵심인 3D 센싱 모듈과 초정밀 카메라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삼성의 XR 기기에도 핵심 공급사로 참여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XR (유망주/중소형): 뉴프렉스 (085670) XR 기기 내 부품들을 연결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전문 기업입니다. 메타 등 글로벌 선두 기업에 공급한 이력을 바탕으로 XR 테마 형성 시 가장 높은 주가 민감도를 보여온 대표적인 중소형주입니다.
로봇 (주도주):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핵심 부품 내재화를 통해 높은 기술적 해자를 구축했으며, 삼성전자가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하고 있어 향후 그룹사와의 시너지가 기대되는 대표 로봇주입니다.
로봇 (유망주/중소형): 에스비비테크 (389500) 로봇의 '관절' 역할을 하는 정밀 감속기 국산화에 성공한 대체 불가능한 기술력을 보유한 강소기업입니다. 로봇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가 기대됩니다.
3. 자동차 & 바이오: 확정된 미래에 대한 투자
투자 아이디어 (자동차) 현대차그룹의 5년간 77.3조 원 투자 계획은 관련 부품 공급망 전체의 중장기적인 성장을 담보하는 가장 확실한 재료입니다. (바이오) 주사제를 **'먹는 알약'**으로 바꾸는 경구용 비만 치료제 개발 성공은,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가치를 재평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핵심 종목
자동차 (주도주): 에스엘 (005850) 자동차 램프 분야의 독보적인 기술력과 높은 시장 점유율을 바탕으로, 현대차의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에 따른 구조적 성장이 예상되는 핵심 부품사입니다.
자동차 (유망주/중소형): 아진산업 (013310) 현대차에 차체 부품을 공급하는 핵심 협력사로, 전기차 전환에 따른 경량화 차체 부품 수요 증가의 직접적인 수혜가 기대되는 대표적인 중소형주입니다.
바이오 (주도주): 한미약품 (128940) 자체 약물전달 플랫폼 **'랩스커버리'**를 기반으로 비만/당뇨 파이프라인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R&D 역량을 보유, 경구용 치료제 개발 경쟁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유망주/중소형): 펩트론 (087010) 1~2주 이상 약효가 지속되는 '스마트데포' 플랫폼 기술을 보유, 장기지속형 비만 치료제라는 차별화된 분야에서 높은 기술적 해자를 구축했습니다.
4. 한한령 해제 & 보안: 정책 변화에 따른 기회
투자 아이디어 (엔터) 한중 정상회담은 '한한령'의 완전한 해제와 문화 콘텐츠 교류 정상화로 이어질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이벤트입니다. (보안) 금융당국의 강력한 제재 예고는 기업들의 보안 투자 확대를 강제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핵심 종목
엔터 (주도주): 하이브 (352820) BTS 등 대체 불가능한 글로벌 IP를 보유하여 중국 시장 개방 시 가장 큰 수혜가 기대됩니다.
엔터 (유망주/중소형): 디어유 (376300) 글로벌 팬덤 플랫폼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는 기술 기반 기업으로, 중국 팬덤 유입 시 높은 실적 레버리지가 기대되는 대표적인 중소형 성장주입니다.
보안 (주도주): 안랩 (053800) 국내 1위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서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보안 (유망주/중소형): 엑스게이트 (356680) 차세대 방화벽 및 VPN 기술력을 갖춘 성장성 높은 보안 전문기업으로, 신규 보안 투자 확대 시 높은 수주 증가율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1. 유가증권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9.12.
태영건설
2,435,581
1
9.17.
씨케이솔루션
6,749,250
62
합계 (2개사)
9,184,831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2. 코스닥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9.2.
바이오인프라
2,064,849
42
9.2.
키스트론
189,000
1
9.3.
글로벌텍스프리
3,528,688
5
9.3.
메쎄이상
33,959,860
79
9.3.
아이비젼웍스
5,787,187
17
9.4.
엑스큐어
700,000
4
9.6.
대진첨단소재
184,892
1
9.7.
아이티켐
194,160
2
9.7.
에스엠씨지
4,326,390
22
9.7.
엠디바이스
576,662
5
9.9.
제이에스링크
3,396,647
11
9.9.
포톤
660,067
5
9.10.
링크솔루션
27,000
-
9.11.
지씨지놈
95,238
-
9.13.
금양그린파워
4,394,800
36
9.13.
싸이토젠
706,445
3
9.13.
엠디에스테크
5,150,000
6
9.14.
지슨
9,808,049
18
9.14.
지투지바이오
2,105,770
39
9.15.
디모아
1,024,118
21
9.16.
엑스게이트
19,561,940
69
9.17.
케이지에이
308,400
3
9.20.
티엑스알로보틱스
1,096,477
7
9.20.
한라캐스트
4,569,534
13
9.20.
한텍
7,719,549
69
9.23.
셀루메드
1,104,363
2
9.23.
아이언디바이스
405,558
3
9.23.
크레오에스지
5,468,653
3
9.24.
더즌
6,737,020
9
9.24.
아스타
197,000
1
9.25.
그래피
2,233,635
20
9.26.
엔젤로보틱스
237,750
2
9.27.
스피어코퍼레이션
3,332,400
8
9.27.
차이커뮤니케이션
400,000
4
9.28.
엔알비
759,880
7
9.28.
우양에이치씨
5,483,126
38
9.29.
엘비인베스트먼트
18,460,651
80
9.29.
프로티나
1,525,254
14
9.30.
대성파인텍
11,299,430
24
9.30.
제닉스로보틱스
1,350,000
10
합계 (40개사)
171,130,442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일프로
2025-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