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주식 시황 @중요 뉴스
Fed, 2연속 금리인하…뉴욕증시, 파월 매파적 회초리에 흔들’ | 한국경제
시장 심층 분석 (유럽, 중동, 중국계 외국인 자금 동향)
최근 외국계 자금은 국내 주식시장 전체 순매수 속도는 다소 둔화됐으나, 유럽계와 중동계 자금은 특정 섹터 집중 현상이 두드러진 상황입니다.
유럽계는 반도체, 친환경 테마(2차전지, 수소) 중심으로 순매수가 이어지고 있어 시장 상승을 견인했고, 단기적으로 유럽발 개별 테크ㆍ기후 정책 모멘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입니다.
중동계는 방산, 원전, 전략소재ㆍ인프라 관련주에 매수세를 실었고, 이는 에너지 가격 상승과 각종 오일머니 재투자 트렌드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중국계 자금 유입은 상장지수펀드(ETF)와 바이오, 플랫폼주로 한정되어 점진적 분산 양상이나, 당분간 대규모 자금 이동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
법안의 각주
현재 중요 산업 및 경제법안의 본회의 통과, 혹은 산업정책 이슈 포착 사항은 없으며, 별도 분석 필요 사안은 없습니다.
상식의 균열 (금, 유가, 국채 금리 등 주요 자산 간 이례적 신호)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일시적으로 4.80% 근처까지 반등 후 4.7% 중후반에서 마감했습니다. 통상 금리와 대체자산(금)의 동반 강세(시장의 불확실성 반영)는 이례적 신호.
국제 금값은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인플레이션 우려로 온스당 2000달러대 초반에서 추가 상승(1% 내외)하며 견조한 모멘텀을 이어갔습니다.
WTI 유가는 83달러선에서 소폭 상승 마감, 이란-이스라엘 갈등 완화 기대감에도 에너지 수급 불안심리 완전히 해소되지 않음.
☀️ 개장 전 시장 동향
미국 특징주 요약 (2025년 10월 29일 마감)
테슬라: 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없는 상황에도 낙폭 과대 인식 및 매수세 유입으로 4% 반등.
엔비디아: AI/반도체주 상승세 이어지며 3%대 강세, 전방 AI서버 수요 기대감 반영.
마이크로소프트: 1.9% 상승 마감. 클라우드 매출과 AI 서비스 확장 부각.
구글(알파벳): 검색광고·AI 부문 성장 둔화 우려로 혼조세(0.8% 하락).
AMD: 경쟁심화‧AI 수요 선점 이슈로 2% 상승.
중국 증시 개장 전 동향 (2025년 10월 30일)
개장 전 CSI300 지수 선물이 강보합, 전일 미국 증시 상승 영향과 최근 국가정책 기대감이 혼재.
중국 중앙정부의 신성장 산업 지원, 부동산 부양책 단행, 대형주에 외국계 순매수세 지속이 관측됨.
금일은 중국 증시 정상 개장 예정, 주요 경제지표 발표는 없음.
🌙 전일 시장 마감 특징주
미국 증시 (2025년 10월 29일 마감)
테마/종목
등락률
원인 분류
AI/반도체 (엔비디아)
+3.2%
서버·AI 수요 기대
전기차 (테슬라)
+4.0%
낙폭 과대+저가매수
소프트웨어 (MSFT)
+1.9%
클라우드·AI 호조
방산 (록히드마틴)
+2.2%
중동 지정학 리스크 완화
소비주 (아마존)
+1.0%
연말 경기 기대
중국 증시 (2025년 10월 29일 마감)
테마/종목
등락률
원인 분류
신에너지차
+2.5%
정부보조금 확대, 수출 증가
부동산/건설
+2.0%
부양책 발표, 대형사 회복 모멘텀
바이오/의료
+1.8%
정책 지원, 낙폭과대 기술주
IT/인터넷 (텐센트)
+1.2%
빅테크 규제 완화 기대
소재·석유화학
+1.0%
글로벌 가격 반등, 유가 영향
1. 테마: 조선 기자재
핵심 재료: 한국, 美 조선 대규모 투자 (HD현대·한화 각 50억불)
분석: 조선업 역사상 최대 규모의 확정된 투자 계획은, '마스가(MASGA)' 프로젝트의 본격화를 의미하며 관련 기자재 공급망 전체에 장기적인 실적을 보장하는 최상위 등급의 재료입니다.
주요 관련주 (시가총액 순)
STX엔진 (077970): 선박용 디젤 엔진 및 방산용 엔진을 생산하며, MRO(유지보수) 수요 증가 시 엔진 정비 및 부품 교체 수요 증가로 수혜가 예상됩니다.
세진중공업 (075580): 선박의 거주 구역(데크하우스)과 LPG 탱크 등 대형 선박 블록 분야에서 세계 1위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기술력 있는 기자재 업체입니다.
HD현대중공업 (329180): 이번 100억 달러 투자의 핵심 주체 중 하나로, 미 해군 함정 MRO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국내 대표 기업입니다.
한화오션 (042660): HD현대중공업과 함께 투자를 주도하며, 잠수함 등 특수선 건조 능력과 그룹 시너지를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핵심 역할을 수행할 기업입니다.
--
2. 테마: 우주항공
핵심 재료: 韓, 공중조기경보 23억불 계약 및 달 탐사 참여
분석: 구체적인 금액(23억불)이 명시된 대규모 국가 방산/우주항공 계약은, 관련 기업의 미래 실적을 담보하는 가장 명확하고 강력한 호재입니다.
주요 관련주 (시가총액 순)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274090): 보잉, 록히드마틴 등 글로벌 기업 및 KAI에 핵심 부품을 공급하며, 우주항공 테마 형성 시 높은 시장 관심을 받는 기업입니다.
쎄트렉아이 (099320): 위성 본체, 지상국 등 위성 시스템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달 탐사 등 우주 프로젝트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KAI (한국항공우주) (047810): T-50, FA-50 등 항공기 개발/생산을 주도하며, 이번 공중조기경보 사업 등 대규모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누리호 발사체 등 우주 사업과 항공 엔진 사업을 영위하는 대한민국 우주항공 산업의 핵심 기업입니다.
--
3. 테마: 방산 (핵추진 잠수함)
핵심 재료: 한국,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 (한미동맹 강화)
분석: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은 국방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이는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에 막대한 규모의 신규 시장이 열리는 것을 의미하는 확정적인 정책 이벤트입니다.
주요 관련주 (시가총액 순)
범한퓨얼셀 (382900): 잠수함의 수중 작전 능력을 늘리는 AIP(공기불요추진체계)용 연료전지 기술을 보유한 핵심 기술주입니다.
한화오션 (042660): 국내에서 유일하게 잠수함 건조 기술력과 도크를 보유한 기업으로, 핵추진 잠수함 건조 프로젝트의 핵심 수혜주입니다.
--
4. 테마: 반도체
핵심 재료: SK하이닉스 D램 완판, 슈퍼사이클 도래
분석: 산업 리더의 '완판(Sold Out)' 선언은, 시장이 극심한 공급 부족 국면에 진입했음을 알리는 가장 확실한 신호이며 '슈퍼 사이클'이 현실화되었음을 증명합니다.
주요 관련주 (시가총액 순)
디아이 (003160): HBM 웨이퍼 성능 검증용 '번인(Burn-in)' 장비 국산화에 성공한 기술 강소기업으로, SK하이닉스와의 높은 관련성이 강점입니다.
HPSP (403870): 반도체 미세화 공정의 핵심인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소부장 대장주입니다.
한미반도체 (042700): HBM 생산에 필수적인 TC 본더 장비 시장에서 글로벌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000660): 이번 '완판' 재료의 주인공으로, AI 반도체의 핵심인 HBM 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확보한 슈퍼 사이클의 최대 수혜주입니다.
--
5. 테마: AI S/W, 양자컴, 통신장비 (한미 기술동맹)
핵심 재료: AI·6G·우주·양자 등 한미 기술협력 전방위 확대
분석: 양국 정부 차원의 '전방위적 기술 동맹'은, 향후 R&D 예산 투입 및 공동 프로젝트 발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 강력한 정책적 신호입니다.
주요 관련주 (시가총액 순)
우리로 (046970): 양자암호통신의 핵심 부품인 단일광자검출기(SPAD)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양자 기술 테마 형성 시 높은 시장 관심을 받는 대표적인 종목입니다.
이스트소프트 (047560): AI 휴먼, AI 안경 등 특화된 AI 서비스를 통해 시장에서 높은 주목을 받은 이력이 있으며, AI 정책 테마 형성 시 높은 주가 민감도를 보이는 종목입니다.
쏠리드 (050890): O-RAN(개방형 무선 접속망) 기술을 기반으로 미국, 영국 등지에 5G/6G 장비를 공급하는 핵심 파트너사입니다.
NAVER (035420): 국내 최고 수준의 AI 기술력('하이퍼클로바X')과 클라우드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미 AI 기술 동맹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플랫폼 기업입니다.
--
6. 테마: 자동차
핵심 재료: 車 관세 불확실성 해소, 현대차·기아 연간 4.4조 절감
분석: 4.4조 원이라는 구체적인 금액이 명시된, 산업의 가장 큰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재료입니다. 이는 기업의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최상위 등급의 호재입니다.
주요 관련주 (시가총액 순)
화신 (010690): 전기차 차체 부품(섀시)과 배터리팩 케이스를 공급하며 현대차·기아의 미국 공장에 동반 진출한 핵심 부품사입니다.
기아 (000270): 현대차와 함께 미국 시장을 공략하며, 관세 리스크 해소에 따른 동반 수혜가 기대됩니다.
현대차 (005380): 이번 재료의 주인공으로, 미국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며 관세 리스크 해소 시 4.4조 원의 비용 절감이라는 직접적인 수혜를 입습니다.
--
7. 테마: 제약 바이오 (바이오시밀러)
핵심 재료: 의약품 관세협상 타결
분석: '타결'은 수출 환경의 핵심 리스크가 제거되었음을 의미하는 명확하고 긍정적인 이벤트로, 미국 등 해외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 및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주요 관련주 (시가총액 순)
바이넥스 (053030): 국내 중견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으로, 관세 장벽 완화 시 글로벌 바이오텍들의 생산 기지로서 가격 경쟁력이 부각될 수 있습니다.
셀트리온 (068270): 바이오시밀러 개발부터 생산, 직접 판매까지 수직계열화를 이룬 기업입니다. 미국 시장 매출 비중이 높아 관세 리스크 해소의 직접적인 수혜주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바이오 의약품 CMO 분야 세계 1위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관세 철폐 시 글로벌 고객사들의 수주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
8. 테마: 전선
핵심 재료: 美, 韓대미투자 유치 (항공·에너지·조선·방산 협력)
분석: 양국 정부 간의 공식적인 '협력' 발표는, 향후 관련 산업(전력망 포함)에서 대규모 투자와 계약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하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주요 관련주 (시가총액 순)
대한전선 (001440): 한화그룹 피인수 이후, 그룹 시너지를 통해 미국 인프라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어 대표적인 중소형 수혜주로 꼽힙니다.
LS (006260): 자회사 LS전선을 통해 해저케이블, HVDC 등 고부가가치 전선 시장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시장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핵심 기업입니다.
--
9. 테마: 화장품 (K-Beauty)
핵심 재료: 백악관, K뷰티 쇼핑 인증
분석: K-뷰티의 브랜드 파워가 최정점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벤트입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긍정적인 투자 심리를 강력하게 확산시킵니다.
주요 관련주 (시가총액 순)
브이티 (018290): 일본 시장에서 '리들샷' 제품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높은 시장 관심을 받는 대표주자입니다.
마녀공장 (439090): 아마존 등 미국 온라인 채널에서 높은 판매고를 올리며, 대미 수출 성장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고 있는 대표적인 인디 브랜드 기업입니다.
코스맥스 (192820): 전 세계 유수의 브랜드를 고객사로 둔 글로벌 No.1 화장품 ODM 기업입니다. K-뷰티 산업 전체의 성장에 투자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1. 유가증권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0.5.
두산로보틱스
22,100,000
34
10.18.
까뮤이앤씨
14,598,550
24
10.21.
주연테크
7,204,608
11
10.21.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1,519,543
2
합계 (4개사)
45,422,701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2. 코스닥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0.2.
씨유메디칼시스템
3,375,720
6
10.2.
비피도
2,454,000
30
10.3.
에이유브랜즈
1,600,000
11
10.4.
피씨엘
124,766
4
10.4.
한국피아이엠
65,000
1
10.4.
뉴엔에이아이
1,032,856
12
10.5.
선바이오
3,160,420
26
10.7.
싸이닉솔루션
105,000
-
10.9.
오아
405,263
7
10.10.
포커스에이아이
3,299,512
14
10.13.
엠투엔
6,556,222
16
10.13.
신라젠
18,750,000
14
10.14.
에이스테크놀로지
19,047,618
25
10.15.
에스바이오메딕스
271,320
2
10.15.
아우토크립트
984,707
10
10.16.
셀비온
370,577
3
10.17.
제넥신
1,775,012
4
10.18.
광무
6,535,950
12
10.18.
안랩
1,112,651
10
10.18.
스튜디오산타클로스엔터테인먼트
994,035
20
10.18.
엔젠바이오
849,257
3
10.18.
퓨릿
8,397,060
49
10.19.
에스투더블유
1,377,612
13
10.20.
핀텔
5,250,500
46
10.20.
셀바이오휴먼텍
3,037,320
33
10.21.
플라즈맵
264,732
7
10.21.
루미르
837,336
5
10.23.
도우인시스
31,250
-
10.24.
에스티큐브
2,002,274
3
10.24.
씨메스
1,486,747
13
10.25.
폴라리스에이아이파마
803,344
6
10.25.
에이치엔에스하이텍
1,480,172
18
10.25.
웨이비스
270,768
2
10.25.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15,916,168
20
10.25.
뉴로핏
2,210,376
19
10.25.
코오롱티슈진
23,194,565
28
10.26.
엠젠솔루션
4,500,000
10
10.27.
토마토시스템
3,554,700
23
10.27.
퀄리타스반도체
2,635,200
19
10.28.
케이젯정밀
11,067,727
70
10.28.
쎄크
610,060
7
10.28.
벨로크
10,088,820
51
10.28.
클로봇
1,839,943
7
10.28.
엔알비
47,619
-
10.29.
삼영이엔씨
2,311,250
14
10.29.
에이아이코리아
2,954,780
36
10.29.
프로티나
1,738,000
16
10.30.
플루토스투자
5,620,000
8
합계 (48개사)
186,398,209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일프로
2025-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