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주식 시황 @중요 뉴스
셧다운 해제 임박 美증시 급등…12월 추가 금리인하 할까 | 한국경제
시장 심층 분석(유럽, 중동, 중국계 외국인 자금 동향)
최근 글로벌 위험선호 심리는 미국과 유럽 증시, 신흥국 시장 모두에서 동반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유럽은 경기 회복 기대감과 에너지 가격 안정, 중국발 자금 흐름 재유입 기대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중동 투자자금 유입은 에너지 가격에 따라 변동성이 높은 양상입니다.
중국계 자금은 상하이 증시 칩 부문 강세와 함께 반도체, 2차전지 업종에 재진입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11월 7일 기준 0.97% 상승). 국내외 그린필드형 외국인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는 추세이나, 글로벌 M&A형 자금은 통상정책 불확실성과 환율 급등 영향으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법안의 각주(중요 산업/경제 법안 포착 시에만 특별 분석)
주목받는 글로벌 산업·경제 법안으로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추가관세(11월 1일부 시행)가 있습니다. 미중 양측의 재협상 가능성이 시사되며 시장 충격은 아직 제한적입니다. 이 외 최근 대법원 판결(2025년 11월 5일 전후)은 미국 관세 환급과 미-중 무역관계,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지속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상식의 균열(금, 유가, 국채 금리 등 주요 자산 간 이례적 신호)
11월 초 국제유가는 단기 급락 후 소폭 반등했으나, WTI는 4.64% 급락하여 경기 둔화 대응 우려를 반영하고 있습니다(61.80달러/배럴).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03~4.10%로 안정적이며, 인플레이션 둔화와 금리 인하 기대가 반영된 신호입니다.
구리는 최근 한 주간 5% 이상 반등, 경기선행 신호로 주목받고 있고, 금은 온스당 약 3,900달러, 단기 강보합에서 안전자산 선호가 집중되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달러지수는 약보합세, 엔화 강세, 원화-위안화 약세 등 통화별 차별화가 심화되고 있어 환율 전망의 유동성이 큽니다.
☀️ 개장 전 시장 동향: 미국 특징주 요약, 중국 증시 개장 전 동향(또는 휴장 정보)
미국 증시(2025년 11월 10일 마감 기준):
AI·반도체 주요주(엔비디아, AMD,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중심으로 성장 기대가 이어짐.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AI 가속칩 수요로 올해 매출 114% 증가, AMD는 MI300 시리즈 등 2위 경쟁 격화.
S&P500은 연초 대비 10% 이상 상승, 금리 인하 기대가 반영됨.
중국 증시 개장 전(2025년 11월 11일 현황):
상하이 증시는 칩 부문 강세로 연속 상승(11월 7일 기준 0.97% ↑, 4008pt).
중국 외국인 자금은 반도체·2차전지 업종에 부분적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테마주 순환이 예상됨.
🌙 전일 시장 마감 특징주: 미국 증시 & 중국 증시 (2025년 11월 10일 마감 기준)
미국 증시(2025년 11월 10일 마감)
테마
등락률
주요 특징주 및 원인
AI/반도체
+3~4%
엔비디아(114% 연매출 성장), AMD, MS, 구글: AI 수요,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신재생에너지
+2%
테슬라, 퍼스트솔라: 정책 기대, 전기차·태양광 발표
유통/리테일
-1.5%
아마존, 월마트: 혼조세, 소비 둔화 신호
금융
+1%
JP모건, 뱅크오브아메리카: 금리 안정반영
산업재
+0.5%
캐터필러, 3M: 인프라 투자·구리 가격 반등 수혜
중국 증시(2025년 11월 10일 마감)
테마
등락률
주요 특징주 및 원인
칩/반도체
+1.2%
SMIC, LONGi: 토종 칩·2차전지 투자 확대
전기차
+0.8%
BYD, NIO: 인프라 정책 기대
헬스케어
-1.3%
항서제약: 실적 둔화, 정책 불확실성
시멘트/소재
+0.9%
China National Building: 인프라 수혜
소비/내수
-0.7%
Kweichow Moutai: 내수 소비 회복 지연
1. AI 인프라 (전력설비, 전선, 냉각 솔루션)
주요 소식:
(전력/전선) AI 시대의 필수 인프라로 K-전력기기와 해저 케이블의 구조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냉각 솔루션) AI 데이터센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액침냉각' 기술이 급부상하며, 글로벌 기업이 한국을 핵심 허브로 지목했습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제룡전기 (033100), 케이엔솔 (052400)
주도주: LS (006260), HD현대일렉트릭 (267260), SK이노베이션 (096770)
--
2. 차세대 반도체 (유리기판 & 패키지 기판)
주요 소식:
(유리기판) 디스플레이 시장에 이어 반도체에도 '유리기판' 도입이 본격화되며, 3분기 관련 매출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패키지 기판) LG이노텍이 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힘입어 내년 패키지 기판 등 사업의 긍정적인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필옵틱스 (161580), 와이씨켐 (119800)
주도주: SKC (011790), LG이노텍 (011070)
--
3. AI S/W (정책 펀드)
주요 소식: 금융위원회가 15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 추진 일정을 공식화했습니다. AI 등 혁신 분야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이 기대됩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이스트소프트 (047560), 솔트룩스 (304100)
주도주: NAVER (035420), 카카오 (035700)
--
4. 2차전지 (EV & 전고체)
주요 소식:
(EV) 테슬라와 리비안 등 미국 전기차 관련주들이 랠리를 펼치며 국내 2차전지 밸류체인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되고 있습니다.
(전고체)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위해 협력에 나서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유망주: 엔켐 (348370), 이수스페셜티케미컬 (457190)
주도주: LG에너지솔루션 (373220), 삼성SDI (006400)
-
1. 은행 / 증권
주요 소식: 은행주가 이익 정상화와 배당 강화로 다시 주목받는 가운데, 투자자 예탁금이 86조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테마 민감도): 유화증권 (003460), 유진투자증권 (001200)
주도주 (펀더멘털): 키움증권 (039490), KB금융 (105560), 신한지주 (055550)
--
2. 지주회사 (기업 밸류업)
주요 소식: 재무부총리가 배당소득 분리과세 25% 완화 시 1,700억 원의 추가 감세 효과가 있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정책 실행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테마 민감도): SJM홀딩스 (025530), SK디스커버리 (006120)
주도주 (펀더멘털): SK(주) (034730), 삼성물산 (028260)
--
3. 조선 (Shipbuilding)
주요 소식: 중국이 '마스가(MASGA)' 프로젝트와 연관될 수 있는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에 대한 제재를 1년간 유예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테마 민감도): HJ중공업 (097230), STX엔진 (077970)
주도주 (펀더멘털): HD한국조선해양 (009540), 한화오션 (042660)
--
4. 탈탄소 (Decarbonization)
주요 소식: 정부 탄소중립위원회가 2035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53~61% 案'으로 공식 의결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테마 민감도): KC코트렐 (119650), 에코바이오 (038870)
주도주 (펀더멘털): 한화솔루션 (009830)
--
5. 게임 (Game)
주요 소식: 원내 1당인 민주당이 '2기 게임특위'를 출범하고, 법안과 예산으로 게임 산업 발전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테마 민감도): 웹젠 (069080), 펄어비스 (263750)
주도주 (펀더멘털): 크래프톤 (259960), 엔씨소프트 (036570)
--
6. 화장품 (K-Beauty)
주요 소식: 중국 최대 쇼핑 행사인 '알리 광군제'가 개막하면서, K-뷰티 등 관련 소비재의 단기 매출 급증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테마 민감도): 브이티 (018290), 마녀공장 (439090)
주도주 (펀더멘털): 코스맥스 (192820), 아모레G (002790)
1. 유가증권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1.11.
가온전선
2,500,433
15
11.20.
범양건영
2,647,838
10
11.20.
SK이노베이션
55,299,185
33
11.27.
1
-
11.22.
달바글로벌
1,293,136
10
11.28.
금양
5,917,159
9
11.29.
보령
18,097,207
21
합계 (6개사)
85,754,959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2. 코스닥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1.2.
유투바이오
5,051,780
45
11.3.
카티스
2,120,864
11
11.3.
민테크
102,500
-
11.4.
뉴로메카
2,200,000
19
11.5.
엘에스마린솔루션
3,962,073
8
11.5.
큐라티스
48,662
-
11.18.
5,000,000
7
11.5.
에이치이엠파마
863,548
12
11.7.
캔버스엔
3,750,000
16
11.7.
퀀텀온
3,533,568
12
11.7.
아이티켐
2,089,502
17
11.7.
토모큐브
1,131,720
8
11.8.
에어레인
2,015,190
25
11.9.
아이톡시
12,349,997
21
11.9.
이엠앤아이
5,510,000
26
11.9.
원일티엔아이
5,716,350
68
11.9.
큐로셀
2,190,000
15
11.9.
메가터치
11,828,700
57
11.11.
에스티큐브
2,771,856
4
11.11.
씨엑스아이헬스케어테크놀리지그룹리미티드
1,234,567
4
11.12.
화일약품
5,997,001
7
11.12.
네오펙트
2,290,950
5
11.12.
노머스
380,803
3
11.13.
수성웹툰
2,052,238
11
11.13.
닷밀
1,768,960
10
11.14.
쓰리빌리언
1,561,560
5
11.14.
지슨
1,909,511
3
11.14.
지투지바이오
17,242
-
11.15.
이렘
10,106,534
16
11.15.
옵트론텍
1,470,000
4
11.15.
씨유메디칼시스템
12,400,000
20
11.15.
티씨머티리얼즈
5,024,206
14
11.15.
캡스톤파트너스
4,636,000
33
11.16.
바이오포트코리아
114,265
3
11.17.
트루엔
4,414,400
40
11.18.
유비온
3,216,855
16
11.18.
캐리소프트
2,805,101
28
11.18.
엑스페릭스
810,701
2
11.18.
엔젯
2,473,320
23
11.18.
삼양컴텍
129,870
-
11.19.
에스엔시스
33,333
-
11.19.
시지메드텍
9,174,311
9
11.19.
에스투더블유
1,297,603
12
11.20.
플루토스투자
7,220,000
11
11.20.
한라캐스트
172,413
-
11.20.
바이오비쥬
1,858,785
12
11.21.
제이피아이헬스케어
514,800
10
11.22.
네오크레마
1,674,642
13
11.22.
인벤티지랩
1,858,698
15
11.24.
그린리소스
8,288,800
50
11.24.
기가비스
7,752,167
61
11.25.
그래피
1,212,260
11
11.27.
삼익제약
153,000
2
11.28.
에이스테크놀로지
18,294,312
24
11.29.
엠젠솔루션
589,391
1
11.29.
팬젠
1,157,545
9
11.29.
푸드나무
6,000,000
17
11.29.
엘에스티라유텍
4,387,504
21
합계 (57개사)
208,689,958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일프로
2025-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