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조아 조언서비스 시즌2

평가
  • 투자리포트
  • 수강 후기(537)
  • Q&A
  • 전체
  • 시황
  • 기업 리포트
  • 테마
  • 공부
기업 리포트 무료 2025-07-09 07:59:18
[분석보고서] 서희건설(035890) - 코스닥

 

이 리포트는 회원분들의 요청에 따라 게임조아AI가 분석을 하여 투자에 적합한지를 조사해 보고하는 자료입니다.

게임조아 AI는 게임조아의 관점으로 종목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만들었습니다.  필요한 회사가 있다면 소감게시판에 간단히 종목명을 적어주면 됩니다. 

본 자료는 참조용으로 절대적인 기준이 될수 없습니다. 같은 종목을 1개월 이내에 다시 내지는 않습니다(100% AI가 아닙니다. 제가 후보정을 해야함).

상장된지 2년 이내 종목은 분석이 정확할수 없습니다. 분석하는 사람의 문제가 아닌 상장을 위해 꾸며낸 정보와 거짓 때문입니다. 이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소감 게시판에 종목명(코드)를 적어서 써주시면 분석 후 24시간 이내에 올립니다.

--------------------

 

서희건설 회사 개요

서희건설은 1982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중견 건설기업으로, 현재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1].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택건설을 중심으로 한 종합건설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회사 기본정보

서희건설의 정식 명칭은 주식회사 서희건설(Seohee Construction Co., Ltd.)이며, 1982년 10월 22일 영대운수라는 운송업체로 시작하여 1994년 9월 건설업으로 업종을 전환했습니다[1]. 1999년 12월 22일 코스닥에 상장되었으며, 종목코드는 035890입니다[1].

주요 재무정보 (2019년 기준)

  • 매출액: 1조 2,429억원
  • 영업이익: 1,182억원
  • 자산총액: 9,761억원
  • 자본금: 1,035억원
  • 종업원 수: 1,004명[1]

사업영역

서희건설은 주택건설, 토목, 건축 등 종합건설업을 주력으로 하며, 특히 아파트 브랜드인 '스타힐스(Star Hills)'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1]. 주요 사업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택건설사업 (아파트, 오피스텔)
  • 재개발/재건축 사업
  • 토목공사
  • 환경사업
  • 공공아파트 건설[2][3]

시공능력 및 업계 지위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1년 시공능력평가에서 토목건축공사업 시공능력평가액 1조 8,174억원으로 23위를 기록했으며[1], 2023년에는 20위를 달성했습니다[4]. 이는 서희건설이 국내 건설업계에서 상당한 규모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기업집단 구조

서희건설은 "서희유성계열"이라 불리는 기업집단의 핵심 기업으로, 2015년 기준 26개의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1]. 주요 자회사로는 경기라이프(경기대학교 기숙사 운영), 칼라스퀘어(부동산업), 내외경제티브이(방송제작업) 등이 있습니다[1].

최근 현황

서희건설은 지속적으로 주택건설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화성, 평택, 이천, 파주 등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다수의 스타힐스 브랜드 아파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4]. 2023년에는 아파트 브랜드 평판에서 8위를 기록하는 등 브랜드 가치도 상승하고 있습니다[4].

서희건설의 재무 상태 분석(최신 재무기준)

서희건설의 최신 재무 상태를 분석해보면, 전반적으로 안정적이고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신 재무 실적 (2024년 기준)

서희건설의 2024년 재무 성과는 견고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매출액은 1조 4,736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1,604억원으로 13.4% 성장했습니다[5]. 특히 주목할 점은 영업이익이 1,473억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5].

주요 수익성 지표

  • 매출총이익률: 20.81% (전년 20.11% 대비 개선)
  • 영업이익률: 10.00% (전년 11.50% 대비 소폭 하락)
  • 순이익률: 10.88% (전년 9.81% 대비 개선)[5]

현금흐름 및 재무건전성

서희건설의 현금흐름 상태는 매우 양호합니다. 2024년 잉여현금흐름은 2,171억원으로 당기순이익 1,640억원을 크게 상회하여 현금 전환율이 우수함을 보여줍니다[6]. 발생주의 비율이 -0.11로 나타나 이익 대비 현금흐름이 건전한 상태입니다[6].

재무건전성 지표 개선

  • 부채비율: 58% (2022년 113%에서 대폭 개선)[7]
  • 차입금 의존도: 7% (2022년 8.6%에서 감소)[7]
  • 유동비율: 183% (상위 20대 건설사 중 2위 수준)[7]

성장성 및 배당 정책

서희건설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당순이익(EPS)은 지난 3년간 연평균 23% 증가했으며[6], 2024년 기준 826원을 기록했습니다[5]. 배당 정책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주당 45원의 배당을 지급했습니다[5].

사업 전망 및 수주 현황

서희건설은 지역주택조합 사업에서 누적 수주액 약 10조원을 달성하며 업계 최대 규모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7]. 현재 시공 중이거나 계약한 지주택 사업장이 26개, 2만 5천여 가구에 달하며, 2025년에는 총 1만 7,872가구를 공급할 예정입니다[7].

최근에는 4,249억원 규모의 오산 원동7구역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신축공사를 수주하는 등 안정적인 수주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8].

신용등급 및 투자 의견

한국신용평가는 서희건설의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A3+'로 평가했으며[7], 이는 회사의 재무건전성이 양호한 수준임을 의미합니다. 특히 부채비율 개선과 현금흐름 증가는 향후 안정적인 사업 운영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전반적으로 서희건설은 재무건전성 개선, 안정적인 수익성, 그리고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바탕으로 양호한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됩니다.

서희건설의 시장 위치 및 경쟁력(경쟁사 비교)

서희건설의 시장 위치와 경쟁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지역주택조합 사업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견 건설사 중에서는 상당히 안정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공능력평가 순위 및 업계 지위

서희건설은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에서 18위를 기록하며 중견 건설사 중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9][10]. 이는 전년 대비 2단계 상승한 것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10]. 상위 20대 건설사 중에서 영업이익률이 전년 대비 상승한 3개 회사(GS건설, 계룡건설, 서희건설) 중 하나로, 수익성 면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11].

지역주택조합 사업 분야 독점적 지위

서희건설의 가장 큰 경쟁 우위는 지역주택조합(지주택) 사업 분야에서의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입니다. 누적 수주액 약 10조원으로 업계 최대 규모를 기록하고 있으며[7], 전국 80여 개 단지, 약 10만 가구의 사업을 진행했습니다[9][10]. 현재 시공 중이거나 계약한 지주택 사업장만 26개, 2만 5천여 가구에 달해 이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7].

지주택 사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

  • 조합원 80% 이상 모집 후 착공하는 까다로운 내부 기준
  • 토지 확보 완료 후 사업 참여로 리스크 최소화
  • 단순 시공을 넘어선 사업 전반의 문제 해결 역량[9]

재무건전성 경쟁력

건설업계 전반의 어려운 상황에서 서희건설은 상당히 양호한 재무건전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동비율 183%로 상위 20대 건설사 중 대우건설(185%) 다음인 2위 수준을 기록했습니다[9][11]. 안정적 재무구조 기준인 유동비율 150% 이상을 충족한 7개 건설사 중 하나로, 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등 대형 건설사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습니다[11].

주요 재무건전성 지표 비교:

  • 부채비율: 58% (2022년 113%에서 대폭 개선)
  • 차입금 의존도: 7% (2022년 8.6%에서 감소)
  • 신용등급: A3+ (한국신용평가)[9][7]

브랜드 경쟁력

서희건설의 '스타힐스' 브랜드는 아파트 브랜드 순위에서 상당한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12]. 삼성물산의 래미안,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 GS건설의 자이 등 대형 건설사 브랜드들과 함께 주요 아파트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12].

경쟁사 대비 차별화 전략

서희건설은 대형 건설사들이 기피하는 지역주택조합 사업에 특화하여 틈새시장을 성공적으로 공략했습니다[9]. 매출에서 지역주택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80%에 육박하며, 이는 다른 건설사들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사업 포트폴리오입니다[10].

경쟁 우위 요소:

  • 지주택 사업 최다 시공 경험과 노하우
  • 까다로운 자체 기준을 통한 안정성 높은 사업지 선별
  • 자체사업 수준의 적극적 사업 관리[9]

시장 전망 및 성장 가능성

건설업계 전반의 침체 속에서도 서희건설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0년간 매출이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2024년 매출 1조 4,375억원, 영업이익 2,355억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10]. 올해에도 총 1만 7,872가구를 신규 공급할 예정으로, 안정적인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7].

전반적으로 서희건설은 중견 건설사 중에서는 독특한 사업 모델과 우수한 재무건전성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주택조합 사업 분야에서는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됩니다.

서희건설의 사업 발전 및 전망

서희건설의 사업 발전 및 전망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지역주택조합 사업을 중심으로 한 안정적 성장과 함께 사업 다각화를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핵심 사업 영역의 지속적 확장

서희건설의 주력 사업인 지역주택조합 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4월에만 경기 화성 비봉 지역주택사업(2,578억원), 경기 양지7지구 1단지(3,354억원), 양지7지구 3단지(2,937억원) 등 대규모 프로젝트를 연이어 수주했습니다[13]. 최근에는 LH 발주 '화성동탄2 C27블록 30공구 아파트 건설공사'를 1,502억원에 수주하여 공공사업 영역까지 확장하고 있습니다[14].

지역주택조합 사업의 경쟁 우위:

  • 조합원 80% 이상 모집 후 착공하는 까다로운 내부 기준으로 리스크 최소화
  • 수분양자 중도금 대출 승인 완료 후 공사 개시로 안정성 확보
  • 2조 3,642억원의 수주고 보유로 향후 2년 이상의 안정적 매출 기반 구축[15]

사업 다각화를 통한 성장 동력 확보

서희건설은 주택사업 중심에서 벗어나 플랜트 사업으로의 다각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6년 말 수주한 '고성하이화력1·2호기 발전소' 프로젝트(총 3조 6,730억원 규모, 서희건설 지분 10%)가 본격적인 매출화 단계에 진입했습니다[15].

플랜트 사업 성과:

  • 2016년 122억원 → 2017년 717억원 → 2018년 3분기 1,403억원으로 급성장
  • 전년 동기 대비 170% 증가하며 토목·플랜트 부문 매출 비중 22.5% 달성
  • 친환경 고효율 발전설비 기술연구 지속 투자로 미래 경쟁력 강화[15]

재무구조 개선 및 안정성 확보

서희건설의 재무구조는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어 향후 사업 확장에 유리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2018년 기준 부채비율이 185%로 6년 만에 100%대 진입을 앞두고 있으며, 유동비율도 128%로 개선되었습니다[15]. 이는 동일 규모 중견건설사 평균(부채비율 230%, 유동비율 103%)보다 우수한 수준입니다[15].

지역 개발 프로젝트 참여 확대

서희건설은 수도권 신도시 개발에 적극 참여하며 성장 기회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화성 동탄2신도시 개발 참여를 통해 11만 7,000여 가구가 공급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입지를 확보했습니다[14]. GTX-A노선 동탄역 개통과 동탄 트램 건설 계획 등 교통 인프라 개선으로 해당 지역의 미래 가치 상승이 기대됩니다[14].

브랜드 가치 및 시장 인지도 향상

서희건설의 '스타힐스' 브랜드는 지속적인 품질 향상과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한경주거문화대상에서 지역주택조합 대상을 수상하는 등 업계에서의 위상도 강화되고 있습니다[16].

미래 성장 전략 및 전망

서희건설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단기 전략 (1-2년):

  • 기존 수주고 2조 3,642억원의 안정적 매출화
  • 플랜트 사업 본격 확장으로 매출 다각화
  • 수도권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 적극 참여

중장기 전략 (3-5년):

  • 친환경 고효율 발전설비 기술 개발 투자 확대
  • 지역주택조합 사업의 전국 확산
  • 공공사업 영역 진출 확대를 통한 안정적 수주 기반 구축

김원철 서희건설 대표는 "화성특례시가 인구 100만명을 돌파하며 국내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도시 중 하나"라며 "화성 내 미래 주거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밝혀 지역 개발과 함께 성장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16].

전반적으로 서희건설은 안정적인 주력 사업 기반 위에 사업 다각화와 지역 개발 참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으며, 개선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향후 더욱 적극적인 사업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희건설에 대한 투자 제안(전일 주가 참조)

서희건설(035890)에 대한 투자 제안을 전일 주가 기준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현재 주가 상황 및 기술적 분석

서희건설은 전일 대비 4.62% 상승한 1,923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 52주 신고가를 연이어 경신하고 있습니다[17][18][19]. 연중 최고가 1,994원, 최저가 1,190원으로 현재 주가는 연중 고점 근처에 위치해 있습니다[17]. RSI 지표는 47 수준으로 중립적 위치를 보이고 있어 과매수 구간은 아닌 상황입니다[20].

주목할 점은 기관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매수세입니다. 최근 18일 연속 순매수를 기록하며 누적 175.48만 주를 매수했습니다[21]. 이는 기관들이 서희건설의 펀더멘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밸류에이션 분석

서희건설의 PER은 2.33배로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17]. 국내 시장에서 절반 이상의 기업이 PER 14배 이상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저평가된 상태입니다[22]. 시가총액은 4,419억원으로 중견 건설사 치고는 합리적인 수준입니다[17].

저PER의 배경:

  • 건설업 특성상 수익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우려
  • 최근 3년간 주당순이익 성장률이 엇갈린 결과를 보임[22]
  • 작년 주당순이익이 29% 감소한 영향[22]

투자 포인트 및 강점

1. 독보적 지역주택조합 사업 경쟁력

  • 누적 수주액 10조원으로 업계 최대 규모
  • 현재 수주고 2조 3,642억원으로 향후 2년 이상 안정적 매출 기반 확보
  • 조합원 80% 이상 모집 후 착공하는 까다로운 기준으로 리스크 최소화

2. 우수한 재무건전성

  • 유동비율 183%로 상위 20대 건설사 중 2위 수준
  • 부채비율 58%로 2022년 113%에서 대폭 개선
  • 신용등급 A3+로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3. 다각화된 수익원

  • 주식투자를 통한 추가 수익 창출 (2023년 1분기 104억원 수익)[23]
  • 테슬라, 삼성전자, 에코프로비엠 등 우량주 포트폴리오 보유[23]
  • 플랜트 사업 확장으로 매출 다각화 진행

리스크 요인

1. 미수금 증가 우려

2024년 3분기 기준 미수금이 3,470억원으로 증가하여 현금흐름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24].

2. 건설업계 전반의 어려움

금리 상승과 건설원가 급등으로 발주 감소가 지속되고 있어 업계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25].

3. 주식투자 변동성

보유 주식의 시장 변동에 따른 평가손익 변동이 실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23].

투자 제안

매수 추천 (목표주가: 2,200원)

투자 근거:

  1. 저평가 상태: PER 2.33배는 동종업계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
  2. 기관 매수세: 18일 연속 순매수는 강한 매수 신호
  3. 안정적 사업 기반: 지역주택조합 분야 독점적 지위와 충분한 수주고
  4. 재무건전성: 건설업계 최상위 수준의 유동비율과 개선된 부채비율

투자 전략:

  • 단기 (3-6개월): 현재 수준에서 분할매수 후 2,000원 돌파 시 추가 매수
  • 중장기 (1-2년): 지역주택조합 사업 확장과 플랜트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한 성장 기대

주의사항:

  • 미수금 증가 추이 모니터링 필요
  • 건설업계 전반의 시장 상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음
  • 보유 주식 포트폴리오의 시장 변동성 고려 필요

현재 주가 수준에서 서희건설은 안정적인 사업 기반과 우수한 재무건전성을 바탕으로 한 가치투자 관점에서 매력적인 투자 대상으로 판단됩니다.

서희건설 관련 위험 경고(최근 6개월 상황)

서희건설과 관련된 최근 6개월간의 위험 요인들을 분석해보면,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리스크가 확인됩니다.

시공 품질 관련 위험

가장 심각한 위험 요인은 시공 품질 문제입니다. 2023년 10월 용인시 서희스타힐스 아파트단지 내 시립어린이집에서 개원 3개월 만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중대한 하자가 발생했습니다[26].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서희건설의 초기 대응이었습니다.

구체적 문제점:

  • 누수로 인한 곰팡이 발생을 임시방편으로 우레탄폼으로 처리
  • 우레탄폼이 전기 분전반 내부로 흘러들어 화재 위험 초래
  • 학부모들의 "화재 사고 우려" 민원 제기
  • 근본적인 누수 문제 해결 없이 '땜질 처방'식 대응[26]

이는 서희건설의 시공 품질 관리 시스템과 하자 대응 능력에 대한 심각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특히 영유아 50여 명이 다니는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문제로, 브랜드 이미지에 치명적 타격을 줄 수 있는 사안입니다[26].

건설업계 전반의 구조적 위험

건설업계 전체가 직면한 구조적 리스크도 서희건설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중견·중소 건설사 700개가 퇴출되고 3,200개가 자진 폐업했으며, 상위 3% 기업도 폐업 신고를 하는 상황입니다[27].

업계 위험 요인:

  • 고금리 지속으로 인한 자금난 심화
  • 미분양 물량 증가
  • 공사비 상승 압박
  • PF(프로젝트파이낸싱) 우발채무 리스크[28]

재무적 위험 신호

서희건설의 재무 상태에서도 일부 경고 신호가 감지됩니다:

미수금 증가 우려:

  • 2024년 3분기 기준 미수금 3,470억원으로 증가
  • 현금흐름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가능성

시장 변동성 노출:

  • 보유 주식 포트폴리오의 시장 변동에 따른 평가손익 변동
  • 테슬라, 삼성전자 등 주식투자 수익이 실적에 직접 영향

시공 관리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

서희건설 내부 문서에서도 시공 관리상의 위험 요인들이 확인됩니다:

  • 가틀 수직도 불량 및 누수 등 내부 마감 공사 하자 발생 가능성[29]
  • 공종별 하자 유형에 대한 예방 시스템의 실효성 의문
  • 시공 시 주의사항 준수 여부에 대한 관리 감독 체계 점검 필요[29]

투자자 관점에서의 위험 평가

단기 리스크 (3-6개월):

  1. 브랜드 이미지 훼손: 어린이집 곰팡이 사건의 후속 파급효과
  2. 추가 하자 발생 가능성: 시공 품질 관리 시스템의 신뢰성 저하
  3. 미수금 회수 지연: 현금흐름 악화 우려

중장기 리스크 (6개월-1년):

  1. 업계 전반 침체: 건설업계 구조조정 여파
  2. 금리 상승 지속: 자금조달 비용 증가 및 수요 감소
  3. 규제 강화: 시공 품질 관련 정부 규제 강화 가능성

위험 관리 제언

투자자 입장에서는 다음 사항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1. 하자 관련 후속 조치: 용인 어린이집 사건의 최종 해결 방안
  2. 품질 관리 시스템 개선: 재발 방지를 위한 구체적 대책 발표 여부
  3. 미수금 회수 현황: 분기별 미수금 변동 추이 점검
  4. 신규 수주 조건: 까다로운 내부 기준 준수 여부 확인

현재 서희건설의 주가가 52주 신고가 근처에서 거래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위험 요인들은 투자 시점 조절의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시공 품질 문제는 지역주택조합 사업이라는 핵심 경쟁력에 직접적 타격을 줄 수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参考资料

  1. 서희건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 Seohee Construction Company 2025 Profile - PitchBook
  3. Seohee Construction - Overview, News & Similar companies
  4. 서희건설 - Seohee Construction
  5. Seohee Construction (KOSDAQ:035890) Financials - Income ...
  6. 서희건설(코스닥:035890)의 실적은 실적이 시사하는 것보다 ...
  7. 서희건설, '원수에 권한다'는 지주택으로 10조 수주…업계 최대
  8. 서희건설, 4249억 규모 아파트 신축공사 수주 外 - 딜사이트
  9. 지주택 시장 주도하는 서희건설, 올해도 성장가도 이어간다
  10. 서희건설은 지역주택조합 사업 강자…전국 80단지·10만가구 진행
  11. "몸집 줄여야 하는데…" 건설업계, 통상임금 확대에 '발등의 불'
  12. [2025년 07월 건설워커 랭킹] 국내 건설회사 취업선호도 인기순위
  13. [Who Is ?]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 겸 유성티엔에스 대표이사
  14. 한명현 2 페이지 - 한국경제
  15. 서희건설, 플랜트사업 힘입어 '사상 최대' 매출 가능성
  16. 김원철 서희건설 대표 화성의 미래 주거 중심지로 위상 높일 것
  17. 서희건설(035890) - 매일경제 마켓
  18. 서희건설, +10.14% 52주 신고가 - 조선비즈
  19. 서희건설, +5.32% 52주 신고가 - 조선비즈
  20. What is Seohee Construction Co Stock price prediction for 2025
  21. [장중수급포착] 서희건설, 기관 18일 연속 순매수행진…주가 + ...
  22. 서희건설(코스닥:035890)의 주가는 시장보다 뒤쳐져 있지만 ...
  23. “자산운용사 차려도 되겠네”... '투자의 신' 으로 불리는 이 건설회사
  24. 서희건설, 호실적 이면엔 … 3470억원 미수금폭탄 - 뉴데일리 경제
  25. 서희건설(A035890) | Snapshot | 기업정보 - FnGuide
  26. 서희건설, 곰팡이 어린이집 하자 보수 '땜질 처방' 火낼 뻔
  27. 2025년 4월 2일 내일 주식 단타 종목(시가기준 1~3%)
  28. 건설: 기지개 켜는 주택시장, 건설사 턴어라운드 가능성은?
  29. [서희건설] (주)서희건설 CE팀 신입사원 채용 | 공모전 대외활동

 



이전글 [분석보고서] KCTC(009070) - 코스닥 (0) 2025-07-09
다음글 [장전 데일리 리포트] 7/9(수) 오늘의 일정과 조언 (0) 2025-07-09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