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조아 조언서비스 시즌2

평가
  • 투자리포트
  • 수강 후기(537)
  • Q&A
  • 전체
  • 시황
  • 기업 리포트
  • 테마
  • 공부
기업 리포트 무료 2025-07-11 08:28:33
[분석보고서] 아티스트스튜디오 (200350) - 코스닥

 

이 리포트는 회원분들의 요청에 따라 게임조아AI가 분석을 하여 투자에 적합한지를 조사해 보고하는 자료입니다.

게임조아 AI는 게임조아의 관점으로 종목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만들었습니다.  필요한 회사가 있다면 소감게시판에 간단히 종목명을 적어주면 됩니다. 

본 자료는 참조용으로 절대적인 기준이 될수 없습니다. 같은 종목을 1개월 이내에 다시 내지는 않습니다(100% AI가 아닙니다. 제가 후보정을 해야함).

상장된지 2년 이내 종목은 분석이 정확할수 없습니다. 분석하는 사람의 문제가 아닌 상장을 위해 꾸며낸 정보와 거짓 때문입니다. 이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소감 게시판에 종목명(코드)를 적어서 써주시면 분석 후 24시간 이내에 올립니다.

--------------------

 

 

아티스트스튜디오 (200350) 투자 분석 보고서

 

회사 개요

 

  • 회사명: 주식회사 아티스트스튜디오 (ARTIST STUDIO, Inc.)

  • 舊 사명: 주식회사 래몽래인 (RAEMONGRAEIN Co., Ltd.)

  • 설립 연도: 2007년 3월 2일

  • 본사 위치: 서울특별시 강남구 학동로25길 19 (논현동)

  • 대표이사(CEO): 이태성, 박지수 (공동 대표 체제)

  • 핵심 요약: 아티스트스튜디오는 200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콘텐츠 제작사 중 하나로,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방송 영상물 제작 및 관련 부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성균관 스캔들', '재벌집 막내아들' 등 다수의 히트작을 통해 제작 역량을 입증했습니다. 2024년, 배우 이정재와 정우성이 최대주주로 있는 아티스트유나이티드로 최대주주가 변경되고 사명을 변경하며 새로운 성장 국면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사업 분야

산업 및 제품/서비스

아티스트스튜디오의 사업은 크게 콘텐츠 제작 사업부가 사업으로 나뉩니다.

  1. 콘텐츠 제작: 회사의 핵심 사업으로, 지상파, 케이블, 종합편성채널, 그리고 넷플릭스(Netflix), 디즈니플러스(Disney+)와 같은 글로벌 OTT(Over-The-Top) 플랫폼에 공급되는 드라마 시리즈 제작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주요 작품:

      • 재벌집 막내아들 (2022, JTBC): 방영 당시 최고 시청률 26.9%를 기록하며 신드롬을 일으킨 대표작으로, 회사의 제작 역량을 시장에 각인시킨 작품입니다.

      • 마에스트라 (2023, tvN): 배우 이영애 주연으로 화제를 모으며 준수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 성균관 스캔들 (2010, KBS2):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며 한류 드라마의 초석을 다진 작품 중 하나입니다.

      • 그 외: '어쩌다 발견한 하루', '산후조리원',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등 다양한 장르와 소재의 드라마를 꾸준히 선보이며 폭넓은 제작 스펙트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부가 사업 (IP 활용): 단순 외주 제작을 넘어, 제작하는 콘텐츠의 지적재산권(IP)을 직접 보유하거나 공동 보유하는 전략을 통해 부가 수익 창출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 음원(OST), VOD, 해외 판권 판매: 드라마의 인기와 함께 발생하는 OST 수익, 국내외 VOD 서비스 및 방송권 판매를 통해 추가 수익을 확보합니다.

    • 기타 라이선싱: 웹툰, 웹소설, 캐릭터 상품화 등 IP를 활용한 2차 저작물 사업으로의 확장을 모색합니다.

 

비즈니스 모델

 

아티스트스튜디오의 비즈니스 모델은 **'기획-제작-IP 수익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지향합니다.

  • 초기 모델 (외주 제작): 과거에는 방송사로부터 제작비를 받아 드라마를 만드는 단순 외주 제작(CP) 모델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이는 안정적이지만 수익성이 낮은 구조였습니다.

  • 현재 모델 (IP 기반 제작): 글로벌 OTT의 등장으로 콘텐츠의 가치가 급상승하면서, 회사는 제작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직접 조달하고 해당 콘텐츠의 IP를 확보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작품이 흥행할 경우, 방영권 수익을 넘어 국내외 판권, VOD, OST 등 IP를 활용한 막대한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고수익-고위험(High-risk, High-return) 구조입니다. 특히, '재벌집 막내아들'의 성공은 이러한 IP 기반 비즈니스 모델의 잠재력을 명확히 보여준 사례입니다.


 

재무 현황

 

  • 시가총액: 약 1,029억 원 (2025년 7월 12일 네이버 금융 기준, 주가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

  • 주가: 10,290원 (2025년 7월 12일 장마감 기준)

 

최근 분기 재무 분석 (2024년 1분기 기준)

 

  • 매출액: 약 10억 8,000만 원

  • 영업손실: 약 41억 2,000만 원

  • 당기순손실: 약 3억 4,000만 원

2024년 1분기 실적은 회사가 현재 겪고 있는 재무적 어려움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급감하며 최근 3년 중 최저 수준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적자를 지속했습니다. 이는 대작이었던 '마에스트라' 종영 이후 차기작의 제작 및 방영 스케줄이 지연되면서 발생한 실적 공백이 주요 원인입니다. 콘텐츠 제작업의 특성상 작품의 방영 시점에 따라 분기별 실적 변동성이 매우 크다는 점을 감안해야 하지만, 지속적인 적자 구조는 회사의 재무 건전성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자금 조달 및 투자자

 

2024년 3월, 아티스트스튜디오는 사업 확장을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습니다. 이 유상증자는 회사의 지배구조 및 미래 전망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입니다.

  • 대상자: 와이더플래닛 (現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외 2인

  • 규모: 약 290억 원

  • 주요 내용: 이 유상증자를 통해 아티스트유나이티드가 지분율 29.34%를 확보하며 최대주주로 등극했습니다. 아티스트유나이티드는 배우 이정재와 정우성이 최대주주로 있는 회사로, 이들이 실질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재무적 투자를 넘어, 이정재와 정우성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브랜드 가치를 아티스트스튜디오의 사업에 접목시키려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확보된 자금은 신규 콘텐츠 제작 및 IP 확보 등 핵심 사업의 경쟁력 강화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그룹 구조 및 관계

 

 

모회사/자회사 및 지배구조

 

  • 최대주주: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지분율 29.34%)

  • 기존 최대주주: 위지윅스튜디오 (컴투스 계열사)

  • 주요 주주: 김동래 (창업자, 지분 매각으로 지분율 감소)

2024년 유상증자를 기점으로 아티스트스튜디오의 지배구조는 근본적으로 변화했습니다. 기존 모회사 역할을 하던 VFX(시각특수효과) 및 콘텐츠 기업 '위지윅스튜디오'에서 배우 이정재, 정우성의 '아티스트유나이티드'로 경영권이 이전되었습니다.

 

경영권 및 타주주와의 관계

 

이번 경영권 변동 과정에서 약간의 마찰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창업자이자 전 대표이사인 김동래 측과 새로운 최대주주인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측 간에 경영 방향에 대한 이견이 있었으며, 이는 임시주주총회에서의 표 대결 가능성으로까지 거론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측이 추천한 이태성, 박지수 공동대표가 선임되고 사명 변경이 이루어지면서 경영권은 안정적으로 이전되었습니다. 하지만 창업자의 지분 매각 등이 이어지면서, 새로운 경영진이 기존 조직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융화시키고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지는 향후 지켜봐야 할 중요한 관전 포인트입니다. 이정재, 정우성이라는 강력한 네임밸류를 가진 주주와 기존 제작 전문 인력 간의 협력 시너지가 성공의 핵심 열쇠가 될 것입니다.


 

시장 위치

 

 

시장 점유율

 

국내 드라마 제작 시장은 수백 개의 제작사가 경쟁하는 파편화된 시장으로, 명확한 시장 점유율을 산출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CJ ENM 계열의 '스튜디오드래곤', HYBE 계열의 'SLL(舊 JTBC스튜디오)' 등이 대규모 자본과 플랫폼을 기반으로 시장을 주도하는 '빅2'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아티스트스튜디오는 이들 빅2에 이어 '에이스토리'('킹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초록뱀미디어' 등과 함께 **2위 그룹(Tier 2)**을 형성하는 중견 제작사로 포지셔닝하고 있습니다.

 

경쟁 우위

 

  • 검증된 제작 역량 (Proven Track Record): '재벌집 막내아들'과 같은 메가 히트작을 포함해 다수의 성공적인 작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방송사 및 OTT 플랫폼에서 신뢰도 높은 파트너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글로벌 스타 파워 결합: 최대주주인 이정재, 정우성의 합류는 아티스트스튜디오에 독보적인 경쟁 우위를 제공합니다. '오징어 게임'으로 세계적인 스타가 된 이정재의 글로벌 네트워크는 향후 해외 합작 프로젝트나 글로벌 OTT 오리지널 콘텐츠 수주에 있어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 IP 기반 성장 잠재력: 단순 외주 제작사를 넘어 IP 홀더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어, 성공적인 IP 하나가 회사의 가치를 폭발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주요 경쟁사

 

  • 스튜디오드래곤: '사랑의 불시착', '더 글로리' 등 수많은 히트작을 배출한 국내 1위 제작사.

  • SLL (에스엘엘중앙): '부부의 세계', '수리남' 등 JTBC를 기반으로 성장한 대형 제작사.

  • 에이스토리: '킹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등 창의적인 IP 개발에 강점을 가진 제작사.


 

사업 발전 및 전망

 

 

사업 발전 현황

 

현재 아티스트스튜디오는 최대주주 변경 이후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는 과도기적 단계에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실적 공백기를 겪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차기 라인업 강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장의 가장 큰 관심은 아래의 두 가지 포인트에 쏠려 있습니다.

  1. '재벌집 막내아들' 시즌2 제작 가능성: 시즌1의 폭발적인 성공으로 인해 시즌2 제작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높습니다. 언론 등을 통해 시즌2 제작이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했습니다. 시즌2 제작이 현실화될 경우, 이는 실적 턴어라운드의 가장 확실한 카드가 될 것입니다.

  2. 이정재, 정우성 관련 프로젝트: 새로운 최대주주와 연계된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감이 높습니다. 특히 이정재가 주연으로 출연하는 넷플릭스 기대작 '오징어 게임 시즌2'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이정재의 차기작 연출 또는 출연 작품을 아티스트스튜디오가 제작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는 회사의 글로벌 인지도를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강력한 모멘텀입니다.

 

미래 전망 및 신사업

 

  • 글로벌 프로젝트 확대: 회사의 중장기 목표는 내수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텐트폴(대작) 콘텐츠 제작사로 도약하는 것입니다. 이정재, 정우성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헐리우드 등 해외 유수의 제작사와의 공동 제작 또는 투자를 유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IP 밸류체인 강화: 기존의 드라마 제작을 넘어, 확보한 IP를 활용해 영화, 웹툰, 게임, 공연 등 다양한 장르로 확장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OSMU)' 전략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하고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는 핵심 전략이 될 것입니다.

2024년 3월 공시 기준으로는 구체적으로 확정된 신규 사업은 없다고 밝혔으나, 이는 최대주주 변경 직후의 보수적인 공시로 해석됩니다. 향후 새로운 경영진의 구체적인 사업 계획 발표에 따라 기업의 성장 로드맵이 더욱 명확해질 전망입니다.


 

최근 주요 이벤트 (최근 6개월)

 

  • 2024년 2-3월: 와이더플래닛(現 아티스트유나이티드)을 대상으로 한 290억 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및 최대주주 변경. 이 과정에서 배우 이정재가 직접 유상증자에 참여하며 시장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음.

  • 2024년 5월: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사명을 '래몽래인'에서 '아티스트스튜디오'로 변경하고, 이태성, 박지수 공동대표 체제를 확립. 이정재는 사내이사로 등재됨.

  • 2024년 5월: '재벌집 막내아들' 시즌2 제작 추진 소식이 알려지며 주가 급등.

  • 2024년 5월 15일: 2024년 1분기 실적 발표. 매출 급감 및 영업손실 지속으로 어닝 쇼크 기록.

 

최근 주가 움직임 분석 (최근 6개월)

 

아티스트스튜디오의 최근 6개월 주가는 펀더멘털보다는 **'테마'와 '기대감'**에 의해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 급등기 (2-3월): 이정재, 정우성의 경영 참여 소식과 유상증자 발표가 주가를 폭발적으로 끌어올린 핵심 동력이었습니다. 주가는 단기간에 2배 이상 급등하며, 회사의 본질적인 가치보다는 '이정재 테마주', '오징어 게임 관련주'로서의 기대감이 투영되었습니다.

  • 조정기 (4-5월):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과 1분기 실적 부진이 발표되면서 주가는 조정을 받았습니다. 이는 기대감만으로는 주가를 계속해서 부양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 재반등 시도: 중간중간 '재벌집 막내아들 시즌2' 제작과 같은 긍정적인 뉴스가 나오면서 주가는 반등을 시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주가는 회사의 재무 상태보다는 **'새로운 최대주주에 대한 기대감'과 '차기 대작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핵심 변수에 의해 움직이는, 전형적인 '고변동성 성장 기대주'의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 주가 분석 및 예측

 

 

보조지표(RSI, MACD 등) 활용 분석

 

  • RSI (Relative Strength Index): 최근 주가 하락으로 인해 RSI 지표는 과매도 구간에 근접하거나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술적으로는 단기적인 반등을 시도할 수 있는 구간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지표의 신뢰도는 수급과 뉴스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습니다.

  •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MACD 선이 시그널 선을 하향 돌파하며 데드크로스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중기적인 하락 추세 또는 약세 국면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차트 텍스트 설명: 현재 주가 차트는 큰 상승 이후 기간 조정을 거치고 있는 형태로, 주요 이동평균선들이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단기적인 등락은 있겠으나, 추세를 전환할 만한 강력한 거래량과 모멘텀(실적 턴어라운드, 대작 계약 등)이 부재한 상황에서는 박스권 등락이나 점진적인 하락의 위험이 상존합니다.

 

호재/악재 예상

 

  • 예상 호재:

    1. '재벌집 막내아들 시즌2' 제작 공식 발표 및 구체적인 캐스팅/방영 일정 공개. (가장 강력하고 즉각적인 호재)

    2. 이정재, 정우성 주연 또는 연출 작품의 아티스트스튜디오 제작 계약 체결.

    3. 글로벌 OTT와의 대규모 오리지널 시리즈 공급 계약.

    4. 2분기 이후 실적 턴어라운드 가시화.

  • 예상 악재:

    1. '재벌집 막내아들 시즌2' 제작 무산 또는 지연.

    2. 기대했던 신규 프로젝트의 부재가 장기화될 경우.

    3. 지속적인 영업적자 및 재무구조 악화.

    4. 최대주주 및 경영진 관련 부정적 이슈 발생.

 

향후 움직임 예측

 

향후 주가 움직임은 **'기대감의 현실화 여부'**에 따라 극명하게 갈릴 것입니다. 만약 상기된 호재들이 구체적인 계약과 숫자로 증명되기 시작한다면, 주가는 현재의 부진을 딛고 전고점을 향한 상승 랠리를 펼칠 잠재력이 충분합니다. 새로운 경영진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는 것이 확인되는 순간이 주가 재평가의 기폭제가 될 것입니다.

반대로, 시장의 높은 기대감에 부응하는 성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실적 부진이 계속된다면, '테마'의 거품이 빠지면서 주가는 기업의 펀더멘털 가치로 회귀하며 큰 폭의 하락을 겪을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의 투자는 높은 잠재력과 높은 위험을 동시에 안고 있는 '고위험-고수익(High-Risk, High-Return)' 투자임을 명확히 인지해야 합니다.


 

위험 요인

 

  1. 콘텐츠 흥행 의존성: 회사의 실적과 주가는 소수 대작의 성공 여부에 따라 극심하게 변동합니다. 차기작이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재벌집 막내아들'로 벌어들인 이익을 상쇄하고 다시 적자 구조로 회귀할 본질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2. 재무적 불안정성: 현재 지속적인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어 재무 건전성이 취약한 상태입니다. 대규모 자금 조달에 성공했지만, 이 자금을 활용해 수익을 내지 못하면 추가적인 자금 조달 필요성이 대두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주주가치의 희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경영권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 새로운 최대주주와 기존 조직 간의 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를 아직은 확신할 수 없습니다. 경영 철학의 차이나 내부 갈등이 발생할 경우, 콘텐츠 제작 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높은 기대감에 대한 부담: 현재 주가에는 '이정재 효과'와 '차기작 대박'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 부분 선반영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대가 현실화되지 않을 경우, 실망 매물이 출회하며 주가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출처

 



이전글 [장후시황] 7/11(금) 오늘의 일정과 조언 (0) 2025-07-11
다음글 [장전 데일리 리포트] 7/11(금) 오늘의 일정과 조언 (0) 2025-07-1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