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으로 올라오는 회원들의 생생한 수익 인증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감사합니다 제 2의 주식 인생을 부탁 드립니다^^ 아무것도 모르고 주식을 한 10년 세월이 허무했습니다.반성을 하고 열심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방송 중 종목 질문을 하면 뼈때리는 말로 참 교육을 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앞으로도 많은 지도 부탁드려요^^ 
타조알통 2025-11-20
쏠쏠했습니다 타점이 기가막힙니다. 쏠쏠하게 재미보고 갑니다
마이너스 2025-11-12

지금 핫한 멘토

주식메딕
주식메딕만의 관점으로 차별화된 타이밍 국내 증시는 특수성이 많은 시장입니다. 많은 적중을 해왔던 지난 수년간의 노하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멘토 홈 바로가기
새로운 인사이트를 가져다 줄 실시간 시황을 만나보세요.
[리포트] 주식 시황 @중요 뉴스 엔비디아만 빼고 M7 다 올라…한덕수 오늘 결심 공판 | 한국경제 -- 시장 심층 분석(유럽, 중동, 중국계 외국인 자금 동향) 최근 유럽 증시는 다소 혼조세를 보이며 FTSE100 지수는 소폭 하락 마감했습니다. 중동 및 중국계 외국인 자금은 중국 주식시장으로 대거 유입되는 흐름이 지속 중이며, 올해 들어 4년 만에 최대 규모인 506억 달러가 중국 시장으로 들어왔습니다. 특히 중국의 대형 기술주들은 여전히 미국 대비 할인된 밸류에이션을 유지해 외국인 투자자의 관심이 높습니다. 다만 11월 들어 아시아 증시 조정과 더불어 외국인 자금 변동성도 커졌습니다. -- 법안의 각주 오늘은 특별히 중대 산업 혹은 경제 법안에 관한 중요한 포착 사항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상식의 균열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약간 하락해 4.06% 선에서 움직였으며, 이는 국채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전형적인 금리-가격 관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된 모습입니다. 또한 유가와 금 가격 등 주요 원자재는 최근 시장 변동성에 크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 개장 전 시장 동향: 미국 특징주 요약, 중국 증시 개장 전 동향(2025년 11월 25일 마감) 미국 증시는 11월 25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Fed) 주요 인사들의 비둘기파 발언과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 큰 폭 상승했습니다. 나스닥 종합 지수는 2.69% 오른 22,872.01에 마감했고, S&P 500 지수는 1.55% 상승,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도 0.44%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AI 및 반도체 관련주가 시장 상승을 주도했으며, 특히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4.63% 폭등했습니다. 브로드컴, 마이크론, AMD, 팔란티어 등이 큰 폭 상승한 점이 특징입니다. 중국 증시는 미중 정상 간 통화 이후 시장 투자 심리가 개선되면서 11월 25일 상승 마감했습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0.87% 상승한 3,870.02, 선전성분지수는 1.53%, 차이넥스트 지수도 1.77% 상승했습니다. 중국 기술주 중심으로 강한 반등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 🌙 전일 시장 마감 특징주: 미국 증시 & 어제 중국 증시 테마와 개별 특징주 5가지씩(2025년 11월 25일 마감) ​ 미국 증시 특징주: 구글 AI 신제품 출시 효과로 강한 주가 상승 브로드컴 +11.10%, AI 및 반도체 템포 주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7.99%, 반도체 수요 회복 기대 AMD +5.53%, AI 칩 수요 강세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4.78%, 데이터 분석 수요 증가 ​ 중국 증시 특징주: 알리바바, 기술주 중심 반등 텐센트, 시장 신뢰 회복 기대감 상승 반도체 관련주 강세, CSI300 반도체 섹터 0.95% 상승 차이넥스트 대표 기술주, 1.77% 상승 선전성분지수 주요 대형 기술주 중심 1.53% 상승 ​ 이상 각국 증시는 AI 및 기술, 반도체 섹터가 강한 상승을 보이며 금리 인하 기대감과 미중 정상 통화 등의 호재가 맞물려 상승 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 ​ ​ 1. HBM / 반도체 (신삼각동맹) 주요 소식: 삼성전자, 구글, 브로드컴이 AI 칩 생산을 위해 **'3각 동맹'**을 구축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는 단순 수주를 넘어선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삼성 파운드리 생태계 전반에 강력한 호재입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가온칩스 (393500) 분석: 삼성 파운드리의 핵심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DSP)로, 글로벌 빅테크의 칩 설계를 삼성 공정에 최적화해주는 가교 역할을 수행합니다. 삼성 비메모리 테마의 대장주 성격을 가집니다. 주도주: 삼성전자 (005930) 분석: 이번 동맹의 주체이자, 메모리-파운드리-패키징을 일괄 수행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기업으로 AI 칩 수주 확대가 기대됩니다. -- 2. 비만 치료제 (M&A 폭증) 주요 소식: 글로벌 제약 바이오 업계의 M&A 규모가 1년 새 200% 폭증했으며, 자금이 비만 치료제 등 핵심 파이프라인 확보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펩트론 (087010) 분석: 약효 지속성 플랫폼(스마트데포) 기술을 보유하여 글로벌 빅파마들의 기술이전 및 협력 대상으로 거론되는 대표적인 기술 특례 상장사입니다. 주도주: 한미약품 (128940) 분석: 독자적인 비만/대사질환 파이프라인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술수출 경험이 풍부한 R&D 중심의 대형 제약사입니다. -- 3. 원전 / 전력설비 주요 소식: 트럼프 전 대통령의 원전 지지 발언과 미국 내 배전 변압기 노후화(50% 이상) 이슈가 맞물려, 전력망 및 에너지원에 대한 슈퍼 사이클 기대감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전력): 제룡전기 (033100) 분석: 미국 수출 비중이 매우 높은 소형 변압기 강소기업으로, 북미 전력망 교체 수요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유망주 (원전): 우진엔텍 (456540) 분석: 원전 가동에 필수적인 정비 및 계측제어 전문 기업으로, 원전 가동률 상승 및 신규 건설 시 수혜가 예상됩니다. 주도주: HD현대일렉트릭 (267260) / 두산에너빌리티 (034020) 분석: 글로벌 전력기기 시장의 리더(HD현대일렉트릭)와 SMR 및 주기기 제작의 독보적 기업(두산에너빌리티)입니다. -- 4. 리튬 (가격 급등) 주요 소식: 바닥을 기던 리튬 가격이 한 달 새 20% 급등하며 추세적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관련 소재 기업들의 재고 평가익 개선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포스코엠텍 (009520) 분석: 포스코그룹의 리튬 사업과 연계된 테마주로, 리튬 가격 반등 시 주가 탄력성이 매우 높은 종목입니다. 주도주: POSCO홀딩스 (005490) 분석: 아르헨티나 염호 등 자체 리튬 광산을 보유하여 채굴부터 소재 생산까지 밸류체인을 완성한 국내 대표 소재 기업입니다. -- 5. 구리 (공급 부족) 주요 소식: 칠레의 주요 구리 생산업체가 구리 프리미엄을 4배 인상했습니다. 이는 공급 부족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입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이구산업 (025820) 분석: 구리 가공 전문 업체로, 구리 가격 상승 시 판가 전가를 통해 수익성이 개선되며 테마 형성 시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주도주: 풍산 (103140) 분석: 신동(구리 가공) 부문과 방산 부문을 모두 영위하며, 구리 가격 상승과 방산 호조의 수혜를 동시에 입는 기업입니다. -- 6. AI 소프트웨어 주요 소식: 구글의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3'**가 호평을 받으며 AI 거품론을 불식시켰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솔트룩스 (304100) 분석: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루시아'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공 및 금융권 AI 도입 확산의 수혜를 입는 AI 전문 소프트웨어 기업입니다. 주도주: NAVER (035420) 분석: 국내 자체 LLM '하이퍼클로바X'를 보유한 플랫폼 기업으로, AI 생태계 확장의 중심에 있습니다. -- 7. 제약 바이오 (AI 신약) 주요 소식: AI를 활용해 신약 개발 기간을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는 등 K-바이오의 R&D 효율성이 혁신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보로노이 (310210) 분석: AI 기반의 설계 기술을 활용해 정밀 표적치료제를 개발하며, 다수의 조 단위 기술이전 성과를 낸 바이오텍입니다. 주도주: 삼성바이오로직스 (207940) 분석: 막대한 생산 데이터와 자본력을 바탕으로 CDMO 공정에 AI를 도입하여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 8. 전고체 배터리 주요 소식: "2030년 400억 달러 시장" 전망과 함께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위한 기업들의 속도전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이수스페셜티케미컬 (457190) 분석: 전고체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황화리튬(Li2S)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련 테마의 대장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주도주: 삼성SDI (006400) 분석: 국내 배터리 3사 중 전고체 배터리 양산 로드맵이 가장 구체적이고 앞서 있는 기업입니다. ​ ​ 1. 두나무 / STO (토큰증권) 주요 소식: 네이버와 두나무의 합병 비율이 오늘 결정될 예정이며, **토큰증권(STO)**이 제도권 시장에 공식적으로 진입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갤럭시아머니트리 (094480) (STO 플랫폼 선두), 케이옥션 (102370) (미술품 조각투자) 주도주: 우리기술투자 (041190) (두나무 지분), 한화투자증권 (003530) (두나무 지분/증권형 토큰) -- 2. 여행 / 카지노 (한일령 반사이익) 주요 소식: 중국이 일본행 항공편을 내년 3월까지 감축하기로 확정하면서, 춘제 연휴 기간 한국행 여행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확실시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글로벌텍스프리 (204620) (텍스리펀드 1위), 롯데관광개발 (032350) (제주 드림타워) 주도주: 파라다이스 (034230), 호텔신라 (008770) -- 3. 석유화학 (구조조정) 주요 소식: 대산단지 내 110만 톤 규모의 설비 통폐합 및 감산이 확정되며, 공급 과잉 해소를 위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대한유화 (006650) (NCC/올레핀 전문) 주도주: 롯데케미칼 (011170), LG화학 (051910) -- 4. 지주회사 (기업 밸류업) 주요 소식: 민주당이 '자사주 취득 후 1년 내 의무 소각' 법안을 연내 처리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SJM홀딩스 (025530) (저PBR 지주사) 주도주: SK(주) (034730), 삼성물산 (028260) -- 5. 조선 (캐나다 잠수함) 주요 소식: 캐나다 정부 관계자들이 이틀 연속으로 K-조선소(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를 실사하며 60조 원 잠수함 사업 발주가 임박했음을 시사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STX엔진 (077970) (잠수함 엔진), 비엠티 (086670) (피팅/밸브) 주도주: 한화오션 (042660), HD현대중공업 (329180) -- 6. 리츠 (부동산 개발 허용) 주요 소식: 리츠(REITs)가 직접 부동산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28일부터 시행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신한알파리츠 (293940) (오피스 리츠) 주도주: SK리츠 (395400), 롯데리츠 (330590) -- 7. 고속버스 (터미널 개발) 주요 소식: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를 입체복합개발하는 계획이 추진되면서, 관련 자산을 보유한 기업들의 가치 재평가가 기대됩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천일고속 (000650), 동부건설 (005960) (주요 주주) 주도주: 신세계 (004170) (센트럴시티 지분 보유) -- 8. 방산 (리스크 관리) 주요 소식: 트럼프 발 **'우크라이나 평화론(종전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전쟁 특수를 누려온 방산주의 단기 조정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업 (시가총액 순): 유망주: 빅텍 (065450), 스페코 (013810) 주도주: LIG넥스원 (07955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1. 유가증권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1.11. 가온전선 2,500,433 15 11.20. 범양건영 2,647,838 10 11.20. SK이노베이션 55,299,185 33 11.27. 1 - 11.22. 달바글로벌 1,293,136 10 11.28. 금양 5,917,159 9 11.29. 보령 18,097,207 21 합계 (6개사) 85,754,959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2. 코스닥시장 해제일 종 목 명 해제주식수 비율(%)* 11.2. 유투바이오 5,051,780 45 11.3. 카티스 2,120,864 11 11.3. 민테크 102,500 - 11.4. 뉴로메카 2,200,000 19 11.5. 엘에스마린솔루션 3,962,073 8 11.5. 큐라티스 48,662 - 11.18. 5,000,000 7 11.5. 에이치이엠파마 863,548 12 11.7. 캔버스엔 3,750,000 16 11.7. 퀀텀온 3,533,568 12 11.7. 아이티켐 2,089,502 17 11.7. 토모큐브 1,131,720 8 11.8. 에어레인 2,015,190 25 11.9. 아이톡시 12,349,997 21 11.9. 이엠앤아이 5,510,000 26 11.9. 원일티엔아이 5,716,350 68 11.9. 큐로셀 2,190,000 15 11.9. 메가터치 11,828,700 57 11.11. 에스티큐브 2,771,856 4 11.11. 씨엑스아이헬스케어테크놀리지그룹리미티드 1,234,567 4 11.12. 화일약품 5,997,001 7 11.12. 네오펙트 2,290,950 5 11.12. 노머스 380,803 3 11.13. 수성웹툰 2,052,238 11 11.13. 닷밀 1,768,960 10 11.14. 쓰리빌리언 1,561,560 5 11.14. 지슨 1,909,511 3 11.14. 지투지바이오 17,242 - 11.15. 이렘 10,106,534 16 11.15. 옵트론텍 1,470,000 4 11.15. 씨유메디칼시스템 12,400,000 20 11.15. 티씨머티리얼즈 5,024,206 14 11.15. 캡스톤파트너스 4,636,000 33 11.16. 바이오포트코리아 114,265 3 11.17. 트루엔 4,414,400 40 11.18. 유비온 3,216,855 16 11.18. 캐리소프트 2,805,101 28 11.18. 엑스페릭스 810,701 2 11.18. 엔젯 2,473,320 23 11.18. 삼양컴텍 129,870 - 11.19. 에스엔시스 33,333 - 11.19. 시지메드텍 9,174,311 9 11.19. 에스투더블유 1,297,603 12 11.20. 플루토스투자 7,220,000 11 11.20. 한라캐스트 172,413 - 11.20. 바이오비쥬 1,858,785 12 11.21. 제이피아이헬스케어 514,800 10 11.22. 네오크레마 1,674,642 13 11.22. 인벤티지랩 1,858,698 15 11.24. 그린리소스 8,288,800 50 11.24. 기가비스 7,752,167 61 11.25. 그래피 1,212,260 11 11.27. 삼익제약 153,000 2 11.28. 에이스테크놀로지 18,294,312 24 11.29. 엠젠솔루션 589,391 1 11.29. 팬젠 1,157,545 9 11.29. 푸드나무 6,000,000 17 11.29. 엘에스티라유텍 4,387,504 21 합계 (57개사) 208,689,958 - * 작성기준일의 발행인관리계좌부상 기재된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해제예정 주식 수로서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재함
일프로 2025-11-26
[리포트] 마이클 셰일러의 MSTR, 왜 더 가파르게 무너지는가 비트코인 9만 달러 붕괴, 그리고 MSTR의 충격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비트코인 가격 급락입니다. 10월 11만 달러 근처에서 거래되던 비트코인은 11월 21일 약 84,000달러까지 떨어졌습니다. 현재는 88,000달러 선에서 불안하게 움직이고 있죠. 이 숫자가 왜 중요할까요? MSTR의 평균 비트코인 매입 가격이 74,433달러이기 때문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회사가 약 74,000달러에 산 비트코인이 80,000달러까지 떨어졌다는 건, 평균 매입가 대비 고작 8% 위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한 달 전만 해도 비트코인이 95,000달러였으니 매입가 대비 28% 가까운 수익이 있었는데, 이제는 그 수익이 거의 다 증발한 겁니다. 더 무서운 건, 비트코인이 조금만 더 떨어지면 회사가 보유한 비트코인 전체가 손실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다는 점입니다. 현재 MSTR은 649,870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총 투자 금액은 무려 483억 7천만 달러입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88,000달러라고 가정하면, 보유 비트코인의 시장 가치는 약 572억 달러입니다. 겉으로 보면 여전히 88억 달러 정도 수익이 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문제는 이 수익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는 겁니다. 그리고 이 회사는 부채를 써서 비트코인을 매입했기 때문에, 단순한 수익률 계산으로는 실제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스마트 머니가 빠져나간다 출처 : 월가의 54억 달러 규모의 MSTR 투매가 비트코인 ​​가격 폭락의 원인일까? 더 걱정스러운 신호는 기관 투자자들의 움직임입니다. 2025년 3분기 동안 미국 기관 투자자들은 MSTR의 지분을 무려 53억 8천만 달러 규모로 매도했습니다. 블랙록을 비롯한 월스트리트 주요 기관들이 보유 지분을 줄였고, 전체 기관 보유 지분 가치는 2분기 말 363억 달러에서 3분기 말 309억 달러로 약 15% 감소했습니다. 왜 이게 중요할까요? 기관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개인 투자자보다 더 많은 정보와 분석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이 대규모로 매도한다는 건, MSTR의 현재 밸류에이션이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상승장에서 함께 올라탔던 기관들이 하락 전환점에서 먼저 빠져나가는 모습은, 개인 투자자들에게 경고 신호로 받아들여져야 합니다. 시장이 인정하지 않는 가치 더 심각한 문제는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의 급격한 축소입니다. MSTR의 시장가치 대비 순자산가치(mNAV) 배수가 역사적 고점인 2.5배에서 1.16배까지 폭락했습니다. 이게 무슨 의미일까요? 한 달 전만 해도 투자자들은 회사가 보유한 비트코인 순가치보다 2.5배 높은 가격을 기꺼이 지불했습니다. 이는 마이클 세일러의 비트코인 매입 전략, 레버리지를 통한 추가 수익 가능성, 그리고 미래 가치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였죠. 그런데 지금은 그 프리미엄이 거의 사라져 1.16배 수준입니다. 시장이 더 이상 MSTR에 추가 가치를 부여하지 않고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에 설상가상으로 MSCI가 디지털 자산 보유 기업들을 지수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JP모건은 만약 이것이 현실화되면 28억~88억 달러의 자금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지수에서 제외된다는 건 수동적으로 지수를 추종하는 ETF들이 MSTR 주식을 의무적으로 매도해야 한다는 의미이고, 추가적인 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레버리지의 역설 MSTR의 전략을 다시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이 회사는 전환사채 발행 등 부채를 활용해 비트코인을 매입합니다. 비트코인이 오를 때는 엄청난 수익을 가져다주지만, 반대로 떨어질 때는 두 가지 문제에 동시에 직면합니다. 첫째는 보유 자산 가치 하락이고, 둘째는 빌린 돈에 대한 이자와 상환 부담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이 회사의 평균 매입가에 근접하고 있다는 건, 부채 활용 전략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만약 비트코인이 평균 매입가 아래로 떨어진다면, 회사는 손실을 보면서도 부채는 계속 갚아야 하는 상황에 놓입니다. 극단적인 경우, 보유 비트코인을 손실 구간에서 매도해 부채를 상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마이클 세일러는 이런 우려에 대해 "장기적으로 비트코인은 반드시 오른다"는 확신을 계속 피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확신이 아닌 현실을 반영합니다. 그리고 현재 현실은 MSTR에게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습니다. 앞으로 무엇을 봐야 할까? 가장 중요한 변수는 역시 비트코인 가격입니다. 88,000달러 선을 안정적으로 지키고 다시 95,000달러 이상으로 올라간다면, MSTR도 반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80,000달러 아래로 떨어지거나, 더 나아가 평균 매입가인 74,433달러에 근접한다면 심각한 위기 상황으로 접어들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MSCI 지수 제외 여부입니다. 실제로 제외가 결정되면 수십억 달러의 매도 압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련 공시를 면밀히 주시해야 합니다. 세 번째는 회사의 추가 비트코인 매입 계획입니다. 현재 상황에서도 세일러 CEO가 부채를 더 늘려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한다면, 이는 단기적으로는 비트코인에 대한 강한 확신의 표현이지만, 동시에 부채 부담 증가라는 양날의 검이 될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투자자의 주식 투자를 돕기 위해 작성된 참고 자료입니다. 본 자료에 의한 투자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목적의 증빙 자료로도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며, 개인 소장을 제외한 무단 배포, 복사, 전재, 수정, 등록 및 전송 등을 금합니다. 위반 시 법적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머니서퍼 2025-11-25
따끈따끈 신규 오픈 강의
트렌디한 주제의 핫한 신규 강의를 살펴보세요.
  • 각자도생의 시대,  뛰어넘을 수 없는 계급사회가 다가온다!
    [강의] 각자도생의 시대, 뛰어넘을 수 없는 계급사회가 다가온다!
    포지션 주식메딕
    100,000 P
  • 99%의 행복 세력필터링(로직 강의 포함)
    [검색기] 99%의 행복 세력필터링(로직 강의 포함)
    스윙 주식역공
    550,000 P
  • [30일 코스] 돈 버는 종가매매 S2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VOD 패키지] [30일 코스] 돈 버는 종가매매 S2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기법&차트 사이에
    800,000 P
  • [7개월 만에 원금 4.5배] 주도주 반등 단타매매 S0 기법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VOD] [7개월 만에 원금 4.5배] 주도주 반등 단타매매 S0 기법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기법&차트 사이에
    200,000 P
에디터가 직접 추천하는 강의
핀업에서만 만날 수 있는 '진짜' 투자 고수들의 노하우!
  • 로드맵 X 파이어파이어
    [멘토멤버십] 로드맵 X 파이어파이어
    멤버십 또사이선생
    6,272,727 P
  • 게임조아 조언서비스 시즌2
    [리포트] 게임조아 조언서비스 시즌2
    게임조아
    매월 300,000 원
  • [7개월 만에 원금 4.5배] 주도주 반등 단타매매 S0 기법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VOD] [7개월 만에 원금 4.5배] 주도주 반등 단타매매 S0 기법 (구독 시 종목추천방 한 달 무료)
    기법&차트 사이에
    200,000 P
  • 각자도생의 시대,  뛰어넘을 수 없는 계급사회가 다가온다!
    [강의] 각자도생의 시대, 뛰어넘을 수 없는 계급사회가 다가온다!
    포지션 주식메딕
    100,000 P
TOP